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의사 블로그] 위 내시경 주의사항 (금식, 수면내시경 보험적용, 복용약물)
    Medicine 2022. 4. 14. 08:58
    728x90

    안녕하세요 의사 예쁘엠입니다. 

    오늘은 많은 환자분/수검자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위내시경 주의사항에 대해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

    다음 포스팅은 위내시경 판독문에서 자주 등장하는 

    위축성 위염/표재성 위염/만성 위염등에 대해 다뤄보기로 하겠습니다.

     

     

    *위내시경의 목적: 검진의 목적일 경우 전암병변 및 암을 발견하는 것이 주 목적. 이외에도 속이 지속적으로 불편하거나 토혈, 혈변, 흑변의 경우 원인을 찾기 위해 1차적으로 시행합니다.

     

    *위내시경은 위, 식도, 십이지장, 가능할 경우 구강과 인후두도 관찰합니다.

     

    *우리나라는 위암이 많은 국가이므로 40세 이상 성인의 경우 2년 1회 국가 검진이 제공됩니다.

     


    *수면비용

    수면내시경의 경우 단순 검진의 목적으로는 보험이 되지 않아 비급여로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용종절제술, 지혈술 목적으로 시행했을 경우 적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시경 후 주의사항

    1) 수면 내시경을 하셨다면 당일 운전 피하십시오. 약기운이 남아 위험할 수 있습니다.

    2) 검사 당일 목에 마취를 하셨기 때문에 안내받은 시간만큼 더 금식 후에 물부터 드셔 보시고 목넘김이 잘 된다면 식사하셔도 됩니다. (흡인의 위험이 있습니다)

    3) 용종제거, 조직검사 등을 시행받으셨다면 검사 당일 음주, 자극이 심한 음식 등은 삼가하십시오.

    4) 검사 후 복부가 불편할 수 있습니다.

    5) 목통증: 내시경 하는 동안에 소리를 내거나 목에 힘을 많이 주시는 경우 목에 상처가 나거나 목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수일 내 호전되니 따뜻한 물을 많이 드시고 자극적인 흡연/음주 등을 삼가십시오. 지속될 경우 이비인후과 진료를 보십시오.

    6) ★병원에 반드시 가야 되는 경우: 조직 검사를 하신 경우 수일 뒤 약간의 흑변이 있을 수 있으나 점점 양이 많아지거나 지속될 경우, 출혈량이 많을 수 있으므로 병원에 가십시오. 또한 어지러움이 급격히 동반되거나 제법 많은 양의 토혈이 있는 경우는 응급실로 가십시오. 검사후 단순 불편감이 아닌 점점 심해지는 극심한 복통/가슴부 통증과 발열, 오한이 동반되는 경우 천공의 위험이 있습니다. 응급실로 가서 검사하십시오.

     

    >> 우리 소화기관은 음식이 없을 땐 쪼그라들어 있기 때문에 내시경을 할 때 공기를 넣어 빵빵하게 불린 뒤 주름진 점막 하나하나를 관찰합니다. 이 공기가 남아 트름이 나오고 방귀가 나오며 배가 아플 수 있습니다. (특히 대장내시경의 경우 더 아픕니다) 대부분의 숙련된 내시경 의사는 공기를 빼고 나오지만 아주 소량의 공기로도 민감하신 분들이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호전되니 내시경 검사가 잘못된 것은 아니기 때문에 너무 걱정 마십시오.


    *복용 약물

    1. 고혈압약: 고혈압약을 복용 중인 분은 아침에 물 소량과 함께 복용하십시오. 위에 기구를 삽입하면 불편함으로 인해 구역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혈압이 급격하게 높아질 수 있으므로 고혈압인 분들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단, 물을 많이 마실 경우 흡인의 위험이 있어 물을 최소한으로 하여 복용하십시오.

     

    2. 항응고제: 아스피린을 예방적으로 복용하시거나 치료적 목적으로 복용하시는 분, 기타 출혈 경향을 높이는 클로피도그렐 (플라빅스 등), 와파린, 자렐토, 실로스타졸, 앨리퀴스 등을 복용하시는 분은 반드시 주치의에게 상의하여 사전에 약을 끊을 수 있다면 끊고 불가능 하다면 이를 내시경 의사에게 고지하여야 합니다. 기구 자체로 인한 점막 손상에 의해 출혈이 발생하거나 조직검사 시에 출혈 확률이 다른 사람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고위험군이면 피가 멈추지 않는 것이 더 위험하기 때문에 조직검사를 시행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3. 기타 약제: 반드시 복용해야 하는 약물이 아니라면 금식 시간에 맞추어 복용하지 않고 오시는 게 좋습니다. 주치의와 상의하십시오.

     


    *금식 시간

    8시간을 기본으로 합니다. 

    일부 검진센터에서는 검사의 질을 올리기 위해 반드시 전날 저녁 식사 이후 금식하라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소화기능이 다르고 위에서 음식물이 비워지는 시간이 다르기에 공통적으로 8시간 정도로 잡지만,

    일부 환자에서는 8시간만으로 부족한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당뇨가 오래된 환자분들이 그렇습니다)

     

    이전 검사에서 8시간만으로는 음식물이 비워지지 않아 재검사를 해야 했던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더 오래 금식하십시오. (전날 점심부터 금식시켰는데도 음식물이 남아있어 어떤 환자는 이틀 굶기고 검사한 경우도 있었습니다)


     Q. 아침에 물을 먹어버렸어요. 어떡하나요?

    액체가 위에 남아있는 경우에는 제거를 하고 검사는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위액이 많은 경우 점막에 고여 보이지 않기 때문에 빨아내기도 합니다)

     

    하지만 우리가 걱정하는 것은 흡인입니다. 

    흡인이란 이물질이 기관지, 폐로 들어가는 것인데 이는 심각한 폐렴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내시경 기구를 넣을 때 환자는 목에 마취를 하더라도 약간의 구역을 느낄 수 있고 이 시점에서도 침이 흡인될 가능성도 있지만 

    아래에서 위에 액체가 차 있다면 기구가 들어가면서 닫히지 못한 위식도괄약근을 타고 액체가 역류해 흡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수면을 하는 경우는 기구를 제거하고 기침을 바로 시킬 수 없습니다.

    또한, 침보다 위액이 더 흡인성 폐렴의 경우 좋지 않은 예후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꼭 정해진 시간 물과 음식 모두 금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내시경후주의사항 #내시경후발열 #내시경후복통 #내시경후목통증 #위내시경후천공 #위내시경합병증 #위내시경부작용 #위내시경후출혈 #흑변 #혈변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